문제
스택 (stack)은 기본적인 자료구조 중 하나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자주 이용되는 개념이다. 스택은 자료를 넣는 (push) 입구와 자료를 뽑는 (pop) 입구가 같아 제일 나중에 들어간 자료가 제일 먼저 나오는 (LIFO, Last in First out) 특성을 가지고 있다.
1부터 n까지의 수를 스택에 넣었다가 뽑아 늘어놓음으로써, 하나의 수열을 만들 수 있다. 이때, 스택에 push하는 순서는 반드시 오름차순을 지키도록 한다고 하자. 임의의 수열이 주어졌을 때 스택을 이용해 그 수열을 만들 수 있는지 없는지, 있다면 어떤 순서로 push와 pop 연산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이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https://www.acmicpc.net/problem/1874
1874번: 스택 수열
1부터 n까지에 수에 대해 차례로 [push, push, push, push, pop, pop, push, push, pop, push, push, pop, pop, pop, pop, pop] 연산을 수행하면 수열 [4, 3, 6, 8, 7, 5, 2, 1]을 얻을 수 있다.
www.acmicpc.net
import sys
n=int(sys.stdin.readline())
stack=[]
result=[]
next=1
for _ in range(n):
num=int(sys.stdin.readline())
if(num>=next):
while(num>=next):
stack.append(next)
result.append('+')
next+=1
if(num<next):
if(stack[len(stack)-1]==num):
stack.pop()
result.append('-')
else:
result.append('N')
break
if('N' in result):
print("NO")
else:
for x in result:
print(x)
※ 스택
● 먼저 n을 입력받은 후, 빈 배열 stack과 result를 선언해준다. 그 후 1부터 n까지의 수 중 다음 차례에 push해 주어야 할 숫자를 저장하는 초기값 1인 변수 next를 선언해준다.
● for문은 총 n번 돌아가게 된다. 각 단계에서 수열을 이루는 숫자를 num에 저장한다. 만약 num이 next보다 크거나 같으면 stack에 num 숫자까지 일단 append 해주어야 하므로 next가 num보다 커지기 전까지 next를 stack에 append, result에 '+'를 append, next 값을 1 증가시켜준다.
● 만약 num이 next보다 작으면 현재 stack에 들어있는 가장 끝 요소가 num 값과 같아야지만 이를 pop() 해줄 수 있으므로 stack[len(stack)-1] == num 을 만족하면 이를 pop() 해주고 result에 '-' 를 append 해준다. 만약 num이 next보다 작고 현재 stack에 들어있는 가장 끝 요소가 num과 다르다면 이 수열을 만들 수 없으므로 result에 'N'을 append 해준다.
● for문을 빠져나온 뒤, 만약 result에 'N'이 있다면 "NO"를 출력해주고 'N'이 없다면 지금까지 result에 append해준 '+' 와 '-' 들을 차례대로 출력해주면 답을 구할 수 있다.
'백준(baekjoon) > 실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baekjoon) 2630번: 색종이 만들기(실버 2, 파이썬 PYTHON) - 분할 정복 (0) | 2023.01.11 |
---|---|
백준(baekjoon) 18258번: 큐 2(실버 4, 파이썬 PYTHON) - 큐,덱 (0) | 2022.11.28 |
백준(baekjoon) 10828번: 스택(실버 4, 파이썬 PYTHON) - 스택 (0) | 2022.11.22 |
백준(baekjoon) 13305번: 주유소(실버 3, 파이썬 PYTHON) - 그리디 알고리즘 (0) | 2022.11.22 |
백준(baekjoon) 11399번: ATM(실버 4, 파이썬 PYTHON) - 그리디 알고리즘 (0) | 2022.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