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nts
● Java 11 설치
https://crazykim2.tistory.com/478
[JAVA] Window10의 JAVA SE 11 설치하기
안녕하세요 포스팅이 늦은 것 같지만 이번에 윈도우를 포맷하면서 자바를 다시 설치하게 되었습니다 자바 개발을 처음하거나 자바를 설치한지 오래되어서 기억이 안 나는 분들을 위해 자바 설
crazykim2.tistory.com
● IntelliJ 또는 Eclipse 설치 (IntelliJ 추천!!)
프로젝트를 생성하기 위해 다음의 링크로 가보자.
두가지의 Project 가 있는데 요즘은 모두 Gradle 을 사용하는 추세이다. Gradle Project 를 선택해주자.
Language 는 Java 를 선택해준다.
버전을 선택해야 하는데 SNAPSHOT 과 M5 로 표시된 버전은 아직 사용할 수 없으므로 이 표시가 없는 버전 중 가장 높은 버전을 선택해주자.
보통 Group 에는 회사명을 쓰는데 우리는 아무거나 써주자.
Artifact 에는 프로젝트 이름을 써주면 된다. 나머지는 그냥 Default 로 일단 놔두면 될 것 같다.
Packaging 은 Jar, Java 는 11을 선택한다.
그 후 ADD DEPENDENCIES 에 들어가서
Spring Web 과 HTML을 만들어주는 template engine 인 Thymeleaf 를 선택해준다.
그 후 밑에 있는 GENERATE 버튼을 눌러주자.
그러면 위와 같이 다운로드가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원하는 폴더 안에다가 압축을 풀어보자.
그 후 IntelliJ 을 실행시키고 압축을 푼 폴더에 들어있는 build.gradle 파일을 IntelliJ 에 드래그 하면
다음과 같이 프로젝트가 생성되게 된다!!
build.gradle 파일을 열어보자.
plugins 는 버전을 설정하고 라이브러리를 땡겨오는 용도라고 일단 이해하고 넘어가자.
group 에는 아까 우리가 설정했던 대로 들어가 있고, sourceCompatibility 에는 사용하는 Java 버전이 들어가 있다. 우리는 11을 사용하므로 11이 들어가 있다.
dependencies 에는 우리가 초반에 넣어줘었던 Spring Web 과 Thymeleaf 가 들어가있고, 테스트 라이브러리가 자동으로 함께 들어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면 dependencies 안에 있는 라이브러리들은 어떻게 다운 받을까??
mavenCentral 이라는 사이트에서 라이브러리를 다운 받으라고 설정해 놓은 것이 위의 코드이다.
그 다음 .gitignore 파일에 들어가보자.
git에는 정말 필요한 소스코드 파일들만 올라가야 한다 (빌드된 결과물 등은 올라가면 안됨). 이를 막기 위해 여기에 작성된 파일이나 폴더는 push 할 때 배제되게 된다.
이제 main-> java 폴더 안에 들어있는 파일(HelloSpringbootApplication)으로 들어가보자.
위와 같은 코드가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main 옆에 있는 화살표를 클릭하여 코드를 실행시켜보자.
그러면 콘솔에 위와 같이 출력이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잘 보면 Tomcat initialized with port(s): 8080 (http) 라고 써져있는 문장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웹 브라우저를 열고 localhost:8080 을 입력해보자.
그러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지금은 현재 아무런 작업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Error Page가 나타나면 정상이다.
main 코드를 좀 설명하자면
SpringApplication.run 안에 main을 포함하고 있는 class 를 넣어주게 되면 @SpringBootApplication 이 실행되게 된다. 이는 tomcat 이라는 WebServer 을 자체적으로 내장하고 있고, 이를 띄우며 SpringBoot 도 같이 올라오게 된다!!
♣ 참고: 라이브러리
-> Maven, Gradle 은 의존관계가 있는 라이브러리들을 모두 함께 다운로드 한다. (우리는 Thymeleaf와 SpringWeb 만을 추가하였지만 이들이 또 사용하는 부가적인 라이브러리, 또 그 라이브러리들이 사용하는 부가적인 라이브러리.... 모두가 함께 다운로드 된다!!)
*★ Spring Boot Library
● spring-boot-starter-web
● spring-boot-starter-tomcat: 톰캣(웹 서버)
● spring-webmvc: 스프링 웹 MVC
● spring-boot-starter-thymeleaf: 타임리프 템플릿 엔진(View)
● spring-boot-starter(공통): 스프링 부트 + 스프링 코어 + 로깅
● spring-boot
● spring-core
● spring-boot-starter-logging
● logback, slf4j
★ Test Library
● spring-boot-starter-test
● junit: 테스트 프레임워크
● mockito: 목 라이브러리
● assertj: 테스트 코드를 좀 더 편하게 작성할 수 있게 도와주는 라이브러리
● spring-test: 스프링 통합 테스트 지원
'BackEnd >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I 란? (4) | 2022.10.03 |
---|---|
MVC 와 템플릿 엔진 (0) | 2022.10.01 |
정적 컨텐츠 (0) | 2022.10.01 |
콘솔에서 Build 하고 실행하기 (0) | 2022.09.30 |
View 환경설정 (0) | 2022.09.29 |